에픽은 라벨
개발
개발 환경을 세팅한다.
- FE 개발 환경 세팅
- Next.js, React, Typescript
- Vanilla Extract
- Jest, React-Testing-Library, msw
- Eslint(Airbnb), Prettier, Storybook
-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한다. axios
- BE 개발 환경 세팅
- 공통 개발 환경 세팅
CI/CD 파이프라인을 구축한다.
- 자동 배포 구축
- FE 자동 배포 구축
- BE 자동 배포 구축
- 공통 자동 배포 구축
- CI/CD 구축
- FE CI/CD 구축
- BE CI/CD 구축
- 공통 CI/CD 구축
- 수동 배포
기능
목차에 있는 문제를 풀 수 있다.
- 문제를 확인할 수 있다. (용준)
- [FE] 사이드바 컴포넌트 구현
- 사이드바 영역의 가로 길이가 길어지면 스크롤이 가능하다
- 문제 목차 데이터는 프론트엔드 정적 데이터로 관리한다
- 목차를 누르면 해당 문제 페이지로 이동한다
- 현재 페이지인 목차에는 볼드 처리가 된다
- 목차에서 정답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
- [FE] 화면에서 문제를 확인할 수 있다
- 목데이터
- 문제 조회 API 연결
- 백틱 스타일링
- [BE] 문제를 보낼 수 있는 GET API를 만든다.
- 문제 상황을 영속성 데이터화한다.
- DB를 선택한다.
- DB를 설계한다.(DDL 포함)
- 데이터를 삽입한다.
- 요청받은 문제 정보를 응답한다.
- GET 요청을 로깅한다.
- 핵심 명령어 서빙.
- API를 명세한다
- [BE] 문제 상황이 컨테이너화 되어야한다.
- 최초 접속 시 미리 준비되어 있는 컨테이너를 할당받는다.
- 접속 이력(히스토리)이 있는 세션이라면 준비되어 있는 컨테이너에 히스토리를 적용한 뒤 할당한다.
- 컨테이너 생성 시 서버 행동을 로깅한다.
- 그래프가 있는 경우에는 Git 그래프를 확인할 수 있다. (용준)
- [FE] canvas 로 git 그래프를 시각화한다
- [FE] Git 그래프 조회 API 응답 파싱
- [FE] Git 그래프 데이터 파싱 테스트 코드 작성
- [FE] git 그래프 조회 API 연결
- [FE] Git 그래프 시각화에 애니메이션 적용
- [FE] Git 그래프 줌인, 줌아웃
- [BE] get API로 그래프에 관련된 git 명령의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.
- 그래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결정한다…
- GET 요청을 로깅한다.
- 초기화 할 수 있다. (정제)
- [FE] 초기화 버튼
- 클릭 이벤트
- 초기화 API 연결
- 초기화 성공 시 토스트 메시지
- 초기화 실패 시 토스트 메시지
- 깃 그래프 시각화 초기화
- 터미널 초기화
- [BE] 초기화된 환경을 제공한다
- 디렉토리를 삭제한 뒤, 새로운 문제 환경을 제공한다.
- 사용자의 초기화 행동을 기록한다.
- 전체 리셋을 할 수 있다. (정제)
- [FE] 사이드바 하단 리셋 버튼
- 클릭 이벤트를 부착한다.
- 스크롤이 되지 않게 하단에 고정한다.
- [FE] 서버에 리셋 요청
- 전체 리셋 API를 연결한다.
- 리셋 성공시
- 새로 고침을 한다.
- 성공 토스트 메시지를 띄운다.
- 리셋 실패 시
- 실패 토스트 메시지를 띄운다.
- 이미 프로세스가 요청중이면 중복된 요청을 받지 않는다.
- [BE] 사용자 상태를 새롭게 만든다.
- 세션id를 새로 발급한다.
- 발급 이력을 로깅한다.
- 실행취소 할 수 있다. (채현)
- 핵심 명령어를 확인할 수 있다. (채현)
- 모범 답안을 확인할 수 있다. (유현)